건설업계의 체감 경기를 보여주는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가 지난달에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소폭 하락했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공사 실적, 수주 잔고, 공사 대금 등 주요 지표들이 대부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 건설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5월 CBSI 74.3 기록, 기준선 100 한참 밑돌아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월 CBSI는 74.3을 기록하며 전월 대비 0.5포인트(p) 하락했습니다.
CBSI는 건설사들이 느끼는 건설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입니다. 5월 지수가 70대 중반에 머무르면서 건설업계의 체감 경기는 여전히 좋지 않은 상황임을 보여줍니다.
이지혜 연구위원은 "5월 체감 건설경기는 전월보다 다소 하락하며 기준치인 100을 크게 하회해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지표 대부분 악화, 특히 공사 실적 및 수주 잔고 '뚝'
세부 실적 지수를 살펴보면, 자금조달지수(78.6, 2.1p 상승)를 제외한 모든 지표가 전월 대비 하락했습니다.
- 공사기성지수: 75.6으로 9.4p 하락
- 수주잔고지수: 72.2로 8.2p 하락
- 공사대수금지수: 77.9로 7.2p 하락
이는 건설 현장의 공사 진행이 원활하지 않고, 쌓여있는 수주 물량도 줄어들며, 공사 대금을 받는 것도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종별, 기업 규모별, 지역별 희비 교차
신규 수주 지수는 공종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습니다. 토목(67.3, 1.6p 상승)과 주택(74.6, 3.8p 상승)은 소폭 상승했으나, 비주택건축(66.1, 3.0p 하락)은 떨어졌습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지수(100.0)는 전월과 동일했지만, 중소기업 지수(63.0, 0.3p 하락)와 중견기업 지수(60.4, 1.1p 하락)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중소·중견 건설사들이 체감하는 어려움이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수(90.1, 3.3p 하락)가 하락한 반면, 지방 지수(63.8, 0.6p 상승)는 소폭 올랐습니다.
종합 실적 지수에 미친 영향력을 보면, 신규 수주 지수의 영향력은 전월 대비 소폭 감소(1.1%p 하락)한 58.9%였고, 자금조달지수의 영향력은 12.7로 전월 대비 1.4%p 상승했습니다. 이는 자금 조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6월 전망도 '부정적' 지속
다음 달(6월) 전망 지수는 5월 실적 지수보다 1.0p 높은 75.3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건산연은 "종합전망지수는 100 이하로 건설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 비중이 높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혀, 당분간 건설 경기의 큰 반등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부동산 > 부동산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집값, 예상보다 큰 폭 하락! 불확실성 속 부동산 시장의 경고등 (2) | 2025.06.14 |
---|---|
세종 아파트 상승세 '주춤'…'천도론' 약발 다했나? 하락 거래까지 등장! (2) | 2025.06.13 |
2년 9개월 만에 최고치!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시장, 뚜렷한 회복세! (2) | 2025.06.12 |
용산의 심장, 1조 원대 '용산정비창 전면 1구역' 재개발: 포스코이앤씨, 승부수 띄우다! (0) | 2025.06.11 |
서울 종로구 내자·필운구역, 26층 주상복합으로 재탄생! (0)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