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개발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에 카카오 AI 디지털 허브 구축!

by 리토픽 2025. 6. 15.

3기 신도시인 남양주 왕숙 지구에 카카오의 'AI 디지털 허브'가 들어설 예정이라고 해요. 이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기업 투자 유치 사례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큽니다.

 

 

 

 

남양주 왕숙, 대한민국 디지털 심장으로!

어제(12일)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의 발표에 따르면, 오늘(13일) 경기도와 LH, 남양주시, 그리고 카카오가 '디지털 허브' 데이터센터 투자 유치를 위한 협약을 체결합니다.

 

이 데이터센터는 왕숙지구 산업용지에 약 3만 4,000㎡(약 1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며, 총사업비는 6,000억 원에 달한다고 해요. 더욱 기대되는 점은 이 사업으로 2,500여 명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겁니다! 내년에 착공하여 2030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하니, 남양주가 명실상부한 디지털 허브로 거듭날 날이 머지않았네요.

 

이번 협약에 따라 LH는 입주 대상지와 기반 시설 조성을 서두르고, 행정 절차도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재명 정부 첫 성과, '첨단산업 특구' 지정 탄력!

이번 카카오 투자 유치는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첫 번째 기업 투자 유치 사례입니다. 이 대통령은 선거 과정에서 '남양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구 지정'을 약속한 바 있는데요. 이번 카카오 데이터센터 유치를 통해 남양주의 국가첨단전략산업 지정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정말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3기 신도시, 기업 유치로 활력!

한편, 남양주 왕숙뿐만 아니라 다른 3기 신도시에서도 기업 유치 소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최근 국토부와 LH는 3기 신도시인 부천대장지구에 약 1조 2,000억 원 규모의 대한항공 R&D센터를 유치했어요. 이곳에서도 연구 인력을 포함한 1,000여 명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됩니다.
  • 2023년 4월에는 SK그룹과 SK그린테크노캠퍼스(가칭)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고, 지난해 1월에는 DN솔루션즈(구 두산공작기계)와도 투자협약을 맺었죠.
  • 작년 12월에는 우리은행과 남양주 왕숙 자족용지 내 '디지털 유니버스' 데이터센터 투자 유치 협약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3기 신도시들이 단순히 주거 기능을 넘어, 첨단 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자족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춰나가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됩니다.